미 하버드대 법학원이 지난 4월 발표한 ‘2004-2005 중국인터넷감시보고’에서 1000개 이상의 단어가 블랙리스트로 작성돼 중국 인터넷 사용시 차단된 것으로 밝혀졌다고 데일리차이나가 16일 보도했다. 이 블랙리스트에서 파룬궁(法輪功)은 2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파룬(法輪), 法倫(타이핑 오류 단어), ‘發論(파룬과 발음이 같은 단어), 사부(師父), 제자(弟子) 등도 차단대상이다.
국가지도층과 측근에 대한 비판은 규제하며 현 국가지도자 이름은 모두 차단대상으로 15%에 달한다.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의 장남인 장멘헝(江錦恒), 리펑(李鵬)의 장남 리샤오펑(李小鵬) 등이나 현 주석 ‘후진타오’와 발음이 같은 ‘胡緊淘’, 장쩌민과 가까운 사이로 알려졌던 미녀가수 ‘쑹쭈잉(宋祖英)’ 등도 차단대상에 포함됐다. ‘다당제, 자유, 민주, 전제 등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어휘는 약 15%, 부패에 관한 어휘 ‘走私(밀무역)’, ‘公款(공금)’ 등도 약 15%를 차지한다. 사회 질서에 관한 어휘 ‘공안, 민경, 흑경(黑警), 폭동, 폭정’ 등은 약 10%를 차지하며 작가, 문인 등 지식인들 역시 10%를 차지한다. 티베트 전문가 왕리슝(王力雄), 경제학자 장우창(張五常), 중국통인 리안유(黎安友), 6·4민주화 운동과 중공당사(黨史) 전문가 가오원첸(高文謙) 등이 있다. 동투르키스탄, 위구르, ‘티벳이라는 단어도 접속 불능이다. 해외 금지 사이트는, 런민바오(renmnibao.com), 다지위안(dajiyuan.com), 다찬바오(bignews.org), 자유아시아방송(rfa.org), 미국의 소리(voanews.com), 밍후이왕(minghui.org), 칸중궈(kanzhongguo.com), 보쉰(peacehall.com) 등이 있다. 또한 음란이나 욕설같은 일반적인 금지어 비율보다 정치와 관계된 단어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일반적인 금지어 비율은 약 15%이다. 이상택 기자(yee@herald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