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I] 일본 언론인들이 ‘중국 원정 장기이식을 생각하는 모임’을 발족해 자국 정부에 중국 원정 장기이식 금지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일본 민간단체 ‘아시아자유민주연대협회’는 도쿄에서 ‘중국 장기 매매 실태’에 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최근 공식 출범한 일본 민간단체 ‘중국 원정 장기이식을 생각하는 모임’의 노무라 하타루(野村旗守) 사무국장은 이 세미나에서, 캐나다 독립 조사단과 ‘파룬궁 박해 국제추적조사조직’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공산당의 장기적출 만행을 알렸다.
지난 7월 ‘중국 원정 장기이식을 생각하는 모임’이 발족할 당시 ‘산케이신문’은, 중국 양심수의 장기가 일본인을 비롯한 각국 환자들에게 이식되고 있는 실태를 잘 알고 있는 일본 기자들이 이 민간단체를 설립했다고 소개하고, 이들이 중국 원정 장기이식 금지법 제정을 일본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일본과 한국을 비롯한 등 많은 국가의 환자들이 중국에 가서 장기이식 수술을 받고 있는데, 이는 중국공산당의 범행에 가담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하지만 이스라엘, 대만, 스페인 등 몇몇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 국가 정부는 이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공산당의 만행을 폭로하고 자국 정부에 이를 제지할 것을 촉구하는 정의로운 인사들은 갈수록 늘고 있다. 일본의 ‘중국 원정 장기이식을 생각하는 모임’ 역시 이런 사람들이 뜻을 모아 설립한 민간단체다.
26일 세미나에서 기자 출신인 노무라 사무국장은, 중국공산당이 1960년대부터 위구르족과 같은 소수민족을 상대로 장기 적출을 시작했으나 소규모였다면서, 장기 매매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은 지난 1999년 파룬궁 탄압이 시작된 직후부터였다고 소개했다. 중국공산당이 파룬궁에 대해 ‘명예 실추, 경제 고갈, 육체 소멸’이라는 박해 정책을 폈기에 장기 적출을 통해 폭리를 얻을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노무라 사무국장에 따르면, 중국공산당의 장기 매매는 이미 1조 엔화(한화 약 9조6,000억 원)에 이르는 의료산업으로 발전했다. 이는 마케도니아와 같은 소규모 국가의 국내총생산액과 맞먹는 규모다. 그는 중국 의사들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동정심이나 죄책감도 없이 오로지 돈을 목적으로 살아 있는 사람에게서 장기를 적출하고 있다면서, 신장위구르자치구 카스 공항에 가면 ‘특수 여행객, 인체 장기 운송 통로’라는 표지가 공공연히 나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는 사실도 소개했다.
노무라 사무국장은 이어, 일본의 장기이식 브로커들은 NPO(비영리단체)로 위장한 중개회사까지 버젓이 차려 놓고 장기이식 환자들을 끌어모으고 있다고 폭로했다. 그는 이런 불법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현재 일본에 관련 법률이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원정 장기이식을 생각하는 모임’의 걀포 페마(Gyalpo Pema) 대표는 “일본은 선진국으로서 이스라엘이나 스페인처럼 중국 원정 장기이식을 법으로 금지해야 하며, 어떤 변명으로도 이 일을 회피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츠치야 노리유키(土屋敬之) 전 도쿄도 의회 의원은, 최근 야마다 히로시(山田宏) 참의원이 지역 의회를 통해 중국 원정 장기이식에 관한 문제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일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