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불법 장기이식 관행 아직도 계속 중”

중국 장기적출조사센터는 중국이 아직도 양심수를 대상으로 장기를 적출하고 있다는 새 보고서를 발표해 중국 내에서 이뤄지는 장기이식 횟수가 공식 기증자의 숫자를 훨씬 웃돌고 있으며, 원정 온 외국인들을 위한 ‘주문형’ 장기도 여전히 가능하다는 증거 자료들을 제시했다. (Jim Watson/AFP/Getty Images)
중국 장기적출조사센터는 중국이 아직도 양심수를 대상으로 장기를 적출하고 있다는 새 보고서를 발표했다. (Jim Watson/AFP/Getty Images)

중국의 장기이식 시스템이 사형수 장기 이용에서 2015년 이후 선진국처럼 자발적인 시민 장기 기증으로 이뤄진다고 중국 당국은 주장했다.

또, 세계보건기구와 세계이식학회 등 국제 의료기구들은 중국 당국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그간 자원해서 장기 이식을 신청하지 않은 사형수뿐만 아니라 양심수의 장기를 강제로 적출했다고 의심받는 중국 당국의 기존 장기 이식 방식을 전면적으로 개혁했다는 주장에 대해, 전문가들은 아직도 기존의 방식으로 장기 이식을 하고 있다는 구체적 증거를 제시하며 반박했다.

뉴욕주 소재 비정부기구인 중국 장기적출조사센터(The China Organ Harvest Research Center)는 중국이 아직도 양심수의 장기를 적출하고 있음을 고발하는 342쪽 분량의 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국 내에서 이뤄지는 장기이식 횟수가 공식 기증자의 숫자를 훨씬 웃돌고 있으며, 원정 장기 이식을 받으러 온 외국인들을 위한 ‘주문형’ 장기를 공급이 여전히 가능하며, 아직도 당국의 감시 감독이 사실상 거의 없다는 증거 자료들을 차례로 제시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연구자들은 중국 내의 자발적 장기기증자의 숫자로는 감당할 수 없는 대규모의 장기 이식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자료로, 2017년 11월 한국에서 방영된 TV조선 다큐멘터리 ‘탐사보도 세븐’의 <죽여야 산다> 편을 제시했다. 해당 방송에서 중국병원에 잠입한 기자가 숨겨간 카메라로 녹음한 간호사와 대화에 따르면, 촬영 하루 전에도 해당 병원의 국제 장기이식 부서는 간이식 3건과 신장이식 4건을 실시했다. 이를 근거로 연간 2천 건 이상의 이식 수술이 이뤄진다고 추정할 수 있다. 취재진에 의하면 환자 당 이식수술 대기기간도 수일에서 수주에 불과했다.

조사센터는 익명을 요구한 병원 관계자가 제보한 중국 장기이식 병원들의 문의 전화 횟수(2016년 7월 ~ 2017년 6월)에 주목했다. 이 수치는 중국 일부 병원에서는 순수한 자발적 장기이식 시스템으로는 불가능한 장기의 광범위한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조사센터 보고서 서문에서, 아서 카플란 교수(뉴욕대학교 의과대학 생명 윤리학자)는 “탁월하고, 철저하며, 자료가 잘 뒷받침된 이번 보고서를 통해, 중국 당국은 장기 강제적출을 위한 대량 살인을 용인하면서 인권을 유린했을 뿐만 아니라, 자국민에게 최소한의 윤리적 대우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언급했다.

이어 “전 세계 장기이식 커뮤니티와 정부 당국들은 이번 보고서에 주목해야 한다. 중국 의료진이 장기이식 의학에서 아무리 기량이 출중하더라도 ‘맞춤 살인’ 정책은 중국 의료진을 장기 이식 관련 의학연구, 학회에서 완전 배제해야 할 이유로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세계이식학회는 이 최신 보도자료에 대해 다른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 회의에서, 낸시 아셔 세계이식학회 전 회장은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 중 한 사람인 리후이거 박사가 중국 관리에게 한 질문을 자르면서 중국의 장기이식 프로그램을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

중국 불법적인 강제 장기이식에 대한 선구자이자 캐나다 인권변호사 데이비드 매이터스도 “이번 보고서가 내가 조사한 바 그대로 중국 당국이 전혀 바뀌지 않았고 숨기는 데 급급하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어 나로서는 실망스러웠다”고 지적했다.

메이터스 변호사는 올바른 대응을 촉구하는 카플란 교수의 주장을 지지했다. “중국 당국이 완전히 투명하게 외부 조사기관의 조사에 협력할 때까지 우리는 중국 이식 전문가들을 배제해야 한다. 전 세계 장기이식 분야 종사자들은 중국인 의사와 협력해서는 안 된다.”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데이비드 리(David Li)도 이메일을 통해 “중국 장기이식시스템의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유린 행위의 증거를 볼 때, 전 세계의 학계와 의료계, 그리고 기업들(제약회사와 의료 장비 제조업체 등)이 중국 장기이식 기관과 진행하는 사업과 협력관계를 재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파룬궁 박해 국제추적조사기구(WOIPFG)도 지난 5월, 제네바 세계보건총회에서 중국 장기 이식 시스템이 자발적 시민 장기기증자로 전환됐다는 황제푸 중국 장기기증 이식위원회 주석의 발언을 신뢰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WOIPFG의 주장에 따르면, 황주석은 중국 당국이 파룬궁 수련자를 대상으로 자행한 강제 생체 장기적출이라는 제노사이드 범죄의 적극적인 가해자 중 한 명으로 추정된다. 이를 고려하면 황제푸는 국제적인 의료인사로서 신뢰할 수 있는 중재자가 아닌 조사 받아야 할 ‘범죄 용의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 WOIPFG는 지난 19년간 중국 내 파룬궁 수련자를 대상으로 자행된 중국공산당의 인권유린 행위를 연구해온 비정부 연구기구 네트워크다.

애니 우(Annie Wu) 기자  EPOCH TIMES 기사링크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를 발행하지 않을 것입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