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4.25 사건

2009_5_3_425znh_10

평화로운 청원을 박해 구실로 이용

파룬궁 수련자들의 집단 청원인 ‘4.25’ 사건의 발단은 4월 중순, 톈진의 한 청소년 과학 잡지에 실린 허쭤슈(何祚庥)라는 어용 물리학자가 쓴 파룬궁 비방 글이 발단이었다. 1999년 4월 23일과 24일, 톈진시 공안국이 무장 공안을 동원해 허위 비방 보도에 항의하는 파룬궁 수련자들을 무차별 구타해 수많은 부상자가 발생했고 수련자 45명이 불법 체포됐다.

톈진시 정부는 항의하는 수련자들에게 공안부가 이 사건에 개입됐기에 베이징에 가서 청원해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수련생들이 베이징에 모이도록 유도했다. 이 소식은 순식간에 파룬궁 수련자들 사이에 전해졌고, 4월 25일 자발적으로 모인 파룬궁 수련자 1만여 명은 베이징 중앙청원사무소(국무원 신방국)에 모여 조용히 평화적인 청원을 했다.

이 사건은 즉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중앙청원사무소가 있는 푸유가(府右街) 인근에는 공산당 지도자들의 공관인 중난하이(中南海)가 위치해 있었으므로 수많은 수련자들이 중국 지도자의 관저를 에워싼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장쩌민은 당시 ‘4.25’ 평화 청원을 파룬궁수련자들이 ‘중난하이를 포위’한 소요라며 본질을 왜곡하고 정치화했다. 이후 ‘4.25’ 사건은 장쩌민의 의도에 따라 파룬궁 탄압을 정당화하는 주요 구실이 됐고, 많은 사람들에게 탄압의 직접적인 이유로 잘못 알려지게 됐다.

‘중난하이 포위’는 정치적 모략

당시 베이징 중앙청원 사무소에 모인 1만여 파룬궁 수련자들은 수련자들에 대한 부당한 대우를 중단하고 자유롭게 연공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해 달라고 청원했다. 상방(上訪), 즉 청원은 중국 국민에게 보장된 정부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탄원수단이다.

청원 군중은 공안의 인도 하에 중난하이 맞은편 푸유가를 따라 서 있었다. 몇몇은 파룬궁 연공을 했고 나머지는 책을 읽거나 조용히 이야기를 나누었다. 사람 수는 많았지만 질서 있고 조용했기에 당시 사진에서 보듯이 공안들은 한담을 나눌 정도였다.

425P-street5_big
1999년 4월 25일 파룬궁 수련생들이 중난하이 담장 맞은편에서 조용히 책을 읽으며 서있다. 현장은 질서정연했다. 어떤 공안은 수련생에게 말을 걸었고, 또 어떤 공안들은 서로 한담을 나눌 정도로 아주 한가한 분위기였다.

하지만 당일 현장에는 중앙정법위(공안, 사법 총괄) 서기 뤄간(羅幹)의 음모가 숨어 있었다. 당시 현장에 있던 수련생들은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처음 수련생들은 푸유가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당시 7,8명 공안이 푸유가 입구를 막고 출입을 통제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얼마 후, 무장 공안이 자신들의 지시에 따르라며 일부 파룬궁 수련생들을 이끌고 대로 동쪽 입구에서부터 서쪽 입구까지 간 다음, 북쪽에서 중난하이 정문 쪽인 남쪽을 향해 천천히 이동시켰고, 다른 일부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시켜 두 개의 대열이 중난하이 정문에서 만나 합쳐지도록 유도했습니다.”

이 진술에 따르면 사실 뤄간의 명령을 받은 무장 공안이 수련생들을 중난하이 근처까지 이끌고 간 것이었다. 뤄간의 목적은 따로 있었다. 뤄간은 그날 저녁 장쩌민을 부추겨 해질 무렵 방탄차를 타고 나와 한 바퀴 둘러보게 했다. 수많은 파룬궁 수련생들의 대열을 보고 장쩌민은 겁을 먹은 한 편 그의 분노는 극에 달했고 파룬궁에 대한 증오심이 더욱 폭발했다.

4.25 사건의 본질

당시 중국 총리 주룽지는 수련생 대표 3명과 면담을 했고, 톈진시가 체포한 파룬궁 수련자들의 석방과 자유로운 수련환경 보장, 정부가 그들을 반대하지 않을 것임을 약속했다. 이렇게 ‘4.25’는 단순한 평화적 ‘청원’이었고, 정부 요지인 중난하이를 포위한 정치성을 띤 시위가 아니었다.

당시 CCTV 방송 화면과 현장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청원 군중의 뒤쪽에 보이는 것은 중난하이 특유의 붉은 담장이 아니었다. 이는 청원 군중이 중난하이를 에워싼 것이 아님을 증명한다. 더구나 시위 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흥분하거나 격동된 사람의 무리가 전혀 보이지 않았고, 구호나 현수막도 없었다. 이렇게 청원은 어떤 작은 충돌도 없이 평화롭게 종료됐다.

청원 당일 파룬궁 수련자들이 보여준 높은 도덕성도 화제였다. 중난하이 주변에 배치됐던 베이징 공안들은 1만 명에 달하는 파룬궁 수련자들이 자발적으로 질서를 지키고 자신들이 버린 담배꽁초마저 주워 현장에 휴지조각 하나 남기지 않고 떠나가는 모습을 보고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4.25사건의 평화적인 해결은 공산당 치하에서 정부와 국민이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는 길을 처음 터놓은 것으로 천안문 유혈사태 이후 실의에 빠져 있던 중국인들에게 큰 희망이 되었다.